1. 디저털 영상의 이해
1) 동영상 파일의 이해
(1) 연속적 이미지
- 실제로는 변화되는 화면을 연속적으로 보여줌
(2) 프레임 수에 따른 차이
- ex: 영화 1초/24프레임, TV는 1초/40프레임 등
(3) 압축의 중요성
- 동영상 파일 크기가 큰 편으로 압축을 해서 사용하게 됨.
- 일반 아날로그급 화질은 1초에 17Mb, 1분에 1.05Gb정도.
2) 동영상 화질에 영향을 주는 요소
- 해상도(resolution) : 화면의 크기, 픽셀의 수
- 초당 프레임 수 (frames per second)
- 데이터비트 레이트 (data vitrate) : 오디오, 비디오
- 영상압축방식 (codec, 코덱)
(2) 해상도 : 영상의 형식과 화면 크기
- SDTV : 320*240 / 640*480 / 720*480
- HDTV : HD720p - 1280*729 / FHD1080i,1080p - 1920*1080 (초당프레임30)
- UHDTV : 4K UHD - 3840*2160(초당프레임30 - TV), 4096*2160(초당프레임24 - 영화)/ 8K UHD - 7680*4320(초당프레임24)
- 시정거리, 용도, 화질에 따라 권장 크기가 다름
- 해상도 높아질수록 색심도, 프레임 크기, 스트림 속도 커짐.
(3) 동영상 압축(codec: encoding, decoding)
- 해상도, 초당프레임, 픽셀크기, 컬러 압출률,에 따라 파일크기가 다름
- 동영상을 파일로 저장할 때 특정 코덱을 이용하여 압축함
- 동영상 재생시 압축한 코덱을 이용해야 해제해서 시청가능
- 압축방법은 여러가지임.
(3)-1. 코덱
- Code- decode의 준말
- 이미지 또는 동여앙 파일 압축의 기술 표준
- 압축코덱과 해제코덱이 같아야함
(4) 동영상 압축 요소
(4)-1. 인트라 프레임 압축 : 한화면 내에서 압축(Intraframe compression) 이미지 압축에 이용
(4)-2. 인터프레임 압축 : 여러화면의 비교를 통한 압축(interframe compression) 프레임이 연속적으로 지속되는 경우 인접한 프레임간 차이가 크지 않다는 점을 이용하며 이전 프레임과 차이값만 기반으로 예측하는 방법 이용
(5) 델타프레임 기법(Delta Frame)
- 서로 연속되는 동영상 프레임 사이에는큰 차이가 나지않는다는 것을 이용, 일정한 간격만으로 프레임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고 그사이 프레임들은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예측을 통해 프레임 정보를 재생산함.
* 정보가 온전히 저장되는 프레임 : 키프레임, I프레임
* 키프레임을 참조하여 예측으로 재구성하는 프레임 : 델타프레임, P프레임, B프레임
(6) 동영상 압축 표준의 설정
- 압축할 이미지 및 동영상 압축 기법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표즌을 만듬
- 다양한 연산작용, 최종이미지의 화질 저하를 방지, 최소파일크기유지
- 다양한 기관에서 압축표준 설정
- MPEG, H.264, Ogg, WebM 등이 있음
(7) 코덱 vs 동영상 파일
압축할 때 이용하는 수식 표준 설정 / 파일에 관한 다양한 데이터를 담음
코덱 표준을 실행하는 프로그램도 코덱이다 / 이미지, 소리, 메타데이터, 이용코덱 등 여러가지 정보
이용하는 코덱에 따라 결과파일의 종류가 다름 / 파일의 이름
3) 동영상 파일의 형식
(1) AVI : 비디오 데이터 저장방식으로 가장 많이 이용됨, 오디오와 비디오가 번갈아 기록됨
(2) MPEG : 다양한 버전, MPEG1->VCD, MPEG2->DVD, MPEG4->네트웤,모바일,HD등의 환경
(3) MOV : 애플사의 퀵타임용
(4) FLV : 어디보사 플래시비디오용
(5) WMV : 윈도우 미디어 비디오용
(6) MKV : 마트료스카, 개수 재한없이 비디오, 오디오, 그림, 자막트랙을 한 파일 안에 저장가능한 파일형식
4) 동영상 파일 변환
- 편집시 보통 avi 형식 이용
- 다양한 기기용 형식 개발되어 있으며 원하는 형식으로 변환하는 프로그램 이용하여 변환후 사용가능.
5) 동영상 파일 저장매체
- 플래시 메모리 : SD카드, 메모리스틱
-디지털 테이프 : DIgital 9, Midi DV
-하드드라이브 : 용랑이 크지만 무거움
-광매체 : DVD, Blu-Ray
(1) 플래시메모리
- 크기가 작고 카메라에 많이 이용됨
- 비디오 카메라에는 기기에 맞는 매체 써야함. SD, SDHC, 메모리스틱(소니사용)등이 이용됨
- 용량이 작은편
- 다양한 형식 : Compact, Micro SDHC
(2) 디지털테이프
- miniDV, 8mm
- 비교적 저렴 ----> 사용이줄고있음
- 전송이오래걸림, 파일전송 시간이 녹화시간과 동일
(3) 하드드라이브
- 기본적으로 내장된 것 이용
- 외장하드 추가 연결 이용 가능
- 대용량 저장가능, 전송빠름, 넌리니어 접근가능, 무거운편
(4) 광매체
- DVD : 4.38GB, 8GB, 15.9GB
- Blu-Ray : 30~50GB
- 영상을 기록한 디스크를 즉시 이용가능하지만 오류에 대한 보완성이 낮음
2. 디저털 영상의 편집, 제작
1) 디지털 영상 기록
- 비디오 캡쳐 카드
-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 기능 잇는 독립 기기 이용
- 저장 기능 있는 휴대 기기 또는 비디오 카메라, 화면 캡쳐 프로그램 이용 등
- 비디오 캡처 기능이 있는 기기를 컴퓨터에 연결
- 비디오를 디지털화 하고 영상압축
- 아나로그 비디오를 디지털 파일로 저장할때
- 영상으로 전송되는 비디오를 디지털 파일로 저장할때 이용
2) 편집 프로그램
- 동영상 편집 : 어도비 프리미어(Adobe Premiere), 아비드(Avid), 파이널컷(Final Cut), 소니베가스(Sony Vegas), 피나클 스튜디오(Pinnacle Studio)
- 특수 효과용 : 애프터 이펙트 (After Effect), 파티클 이펙트(Particle Effects)
3) 영상편집 과정 개요
: 작업 동영상 형식 지정 -> 영상,사진,사운드 등의 소스 불러오기 -> 소스 분량 편집 -> 기본효과, 화면전환 등 추가 -> 최종 동영상 파일 내보내기 [ 작업내용을 하나의 동영상 파일로 렌더링하여 저장함]
'공부정리 및 기록 > [그래픽] 컴퓨터 그래픽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렌더링(Rendering)이란?] 그래픽 작업상 렌더링 기술 / 셰이딩 발전 단계 및 특징 (0) | 2020.07.13 |
---|---|
10. 3D 그래픽스 애니메이션 (0) | 2020.06.16 |
09. 3D 그래픽스 기본 개념 (0) | 2020.06.16 |
5. 컬러의 표현과 그래픽 파일 형식 (0) | 2020.06.01 |
4. 컴퓨터그래픽스의 기본개념 (0) | 2020.06.01 |
댓글